본문 바로가기

Study/Git & Github Study

2장.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

02-1 깃 저장소 만들기

X : Major Version, 기존과 호환되지 않는 큰 변화

Y : Minor Version, 호환 가능하지만 새로운 기능이 추가 된 경우

Z : Patch, 버그 수정 정도의 작은 변화

깃에서 버전이란

  • 문서를 수정하고 저장할 때마다 생기는 것

스테이지와 커밋 이해하기

  • 작업 트리 (working tree)
  • 파일 수정, 저장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터리
  • '작업 디렉터리(working directory)'라고도 함
  • 스테이지 (stage)
  •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
  •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이라고 부르기도 함
  • 저장소 (repository)
  •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
  • 기타
  • 스테이지와 저장소는 눈에 보이지 않음
  • .git 디렉터리 안에 숨은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영역

최신 커밋으로 돌리기

  • git reset Options
  • --soft HEAD^ : 최근 커밋을 하기 전 상태로 작업 트리를 되돌림
  • --mixed HEAD^ : 최근 커밋과 스테이징을 하기 전 상태로 작업 트리를 되돌림
  • 옵션 없이 git reset 명령을 사용할 경우 이 옵션을 기본으로 작동함
  • --hard HEAD^ : 최근 커밋과 스테이징, 파일 수정을 하기 전 상태로 작업 트리를 되돌림.
  • 이 옵션으로 되돌린 내용은 복구할 수 없음

'Study > Git & Github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장 깃 시작하기  (0) 202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