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썸네일형 리스트형 2장. 변수와 자료형 2.1 변수 2.2 자료형 정수 자료형 유형 저장공간 설명 byte 1바이트 메모리 절약에 유용 short 2바이트 int 4바이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long 8바이트 int 다음으로 더 넓은 범위 필요할 때 사용 실수 자료형 유형 저장공간 설명 float 4바이트 float 자료형은 변수에 저장하는 실숫값 끝에 반드시 f를 붙여야 함 double 8바이트 double 에서는 d 생략 가능해 일반적으로 사용 문자 자료형 유형 저장공간 설명 char 2바이트 문자와 숫자 등 문자 집합의 기호에 사용 ex) char ch1 = 'J '; 문자열 자료형 String 자료형을 사용 큰따옴표로 묶어야 함 앞의 자료형과 달리 String 자료형은 클래스에 해당하므로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 불리언 자료형 true와.. 더보기 1장. 자바 첫걸음 ▣ 클래스 - 클래스 명은 대부분 첫글자가 대문자로 시작 - 전체 클래스의 내용은 중괄호 { } 안에 포함 ▣ 처리문 - 자바의 모든 처리문은 반드시 세미콜론 ; 로 끝남 ▣ 주석 - // 설명문 - /* 설명문 */ 더보기 2장.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 02-1 깃 저장소 만들기 X : Major Version, 기존과 호환되지 않는 큰 변화 Y : Minor Version, 호환 가능하지만 새로운 기능이 추가 된 경우 Z : Patch, 버그 수정 정도의 작은 변화 깃에서 버전이란 문서를 수정하고 저장할 때마다 생기는 것 스테이지와 커밋 이해하기 작업 트리 (working tree) 파일 수정, 저장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터리 '작업 디렉터리(working directory)'라고도 함 스테이지 (stage)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이라고 부르기도 함 저장소 (repository)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 기타 스테이지와 저장소는 눈에 보이지 않음 .git 디.. 더보기 1장 깃 시작하기 01-1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 깃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버전 관리 2. 백업하기 3. 협업하기 1 -> 2 -> 3-> 이 순서대로 배우고자 함 01-2 윈도우에서 깃 설치하기 설치 완료∽ 01-3 리눅스 명령 연습하기 1. 깃 배시의 물결 표시(~) : 현재 위치가 home directory( 홈 폴더)라는 의미 2. pwd 입력 후 엔터 : 현재 위치의 경로 표시 3. ls 명령 입력 후 엔터 : 현재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 4. ls 명령 옵션 모음 ( -a, -l, -r, -t) 5. clear 명령 : 터미널 창 지우기 6. cd 명령 : 터미널 창에서 디렉터리 이동 7. mkdir 명령 : 현재 디렉터리 안에 하위 디렉터리 생성 8. exit : 터미널 종료하.. 더보기 이전 1 ··· 3 4 5 6 다음